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주가수익률(PER) 가이드

by 유스럭쿠 2023. 2. 28.
반응형

주식 투자를 시작하게 되면 주가수익률 (PER) 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될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 투자를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주가익률(PER)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Price–earnings ratio (주가수익률)

주가수익률(PER)은 기업의 주가와 주당순이익을 나누어 계산한 지표로, 투자자들이 기업의 가치를 판단할 때 주로 참고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PER은 특정 시점에서 기업의 주가가 주당순이익 대비 얼마나 높은지 나타내는 지표이며, 주가가 주당순이익에 비해 높을수록 높은 PER을 가지게 됩니다.

PER이 높다는 것은 시장 참여자들이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여 주가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반해, PER이 낮다는 것은 해당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낮아서 주가를 낮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PER이 낮을수록 기업의 가치가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ER은 다른 지표들과 함께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ER이 낮아서 저평가된 기업이지만, 이익이 감소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낮은 경우에는 다른 지표를 함께 고려하여 적정한 투자시점을 결정해야 합니다.


 

Price–earnings ratio (주가수익률) 계산하는 방법


PER을 계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PER은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주가를 알고 있다면 해당 기업의 PER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순이익이 1,000원이라면, A기업의 PER은 10이 됩니다. 이를 통해 A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투자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Tesla 의 P/E Ratio 는 57.34 입니다. (2023년 2월 27일 기준)

 

PER이 높다고 해서 항상 나쁜 것은 아닙니다. PER이 높다는 것은 해당 기업이 높은 수익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은 산업군이나 시장 환경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 PER이 20을 넘어가면 높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PER이 20을 넘어가더라도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높다면 그에 맞는 높은 가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PER을 평가할 때는 기업의 업종이나 경쟁환경, 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좀 더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PER만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PER은 기업의 성장 가능성 등 다양한 요인들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ER 외에 다른 지표들과 함께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기업의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

투자자들은 PER을 활용하여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고, 적절한 투자시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PER을 비교하여 저평가된 기업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좋은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